본문 바로가기
건강지식

기력을 보강하는 약재, 백출(삽주) 효능과 영양 성분을 알아보자. (ft. 동의보감에 어떻게 기록되어있을까?)

by 에이지리스 2025. 5. 19.

목차

1. 백출(삽주) 정의, 원산지, 특징, 한방 유래
2. 백출(삽주)의 영양성분
3. 백출(삽주)의 효능
4. 백출(삽주) 섭취 시 주의할 점 및 부작용
5. 백출(삽주)의 효율적인 섭취 방법
6. 조리법에 따른 백출(삽주)의 영양소 변화
7. 백출(삽주) 요약 정리


1. 백출(삽주) 정의, 원산지, 특징, 한방 유래

백출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삽주(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을 말합니다. 주로 한약재로 사용되며, 오래전부터 한의학에서 위장을 보호하고 습기를 제거하며 기력을 보강하는 약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흔히 ‘바이쭈(白术)’라고 불리며, 국내에서도 ‘백출’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식물 자체는 높이 60~120cm까지 자라며, 뿌리줄기가 굵고 비대한 것이 특징입니다. 백출의 유효 부위는 이 뿌리줄기이며, 수확 후 깨끗이 손질하고 말려서 사용합니다.

 

고서인 동의보감에서는 백출을 "비위를 보하고 습을 제거하며, 안태에 도움이 되며 식욕을 돋운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의 기능성 분석과도 일치하는 점이 많습니다.

 

백출은 한방에서 흔히 보중익기탕, 향사육군자탕, 사군자탕 등 다양한 처방에 포함되는 주요 약재로, 비장 기능 강화, 소화력 개선, 장내 환경 개선 등의 효과로 활용됩니다. 최근에는 면역 조절 작용이나 항산화 작용이 있다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어, 단순한 한약재를 넘어 건강보조식품 재료로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백출은 원래 중국의 저장성, 안후이성, 후난성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었으나, 최근에는 국내 경북, 강원 일부 지역에서도 재배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항목 내용
식물명 삽주(Atractylodes macrocephala)
사용 부위 뿌리줄기 (건조 후 사용)
한약적 분류 보기약(補氣藥), 조습약(燥濕藥)
주요 기능 비장 강화, 위장 보호, 습 제거, 태 안정
대표 처방 보중익기탕, 사군자탕, 향사육군자탕 등
활용 분야 한약재, 건강보조식품, 소화 개선제
재배 지역 중국 저장성, 국내 일부 고산지대 등

백출(삽주)

2. 백출(삽주)의 영양성분

영양소 함량 (100g 기준) 주요 효능
Atractylenolide I~III 수치 미공개 (추출 성분 기준) 면역 강화, 항염, 항암
플라보노이드 수치 미공개 항산화, 항노화
칼륨 260 mg 혈압 조절, 근육 기능 유지
칼슘 48 mg 뼈와 근육 건강
철분 1.4 mg 빈혈 예방, 에너지 생성
아연 0.5 mg 면역 기능 향상
비타민 B1 0.03 mg 에너지 대사
비타민 B2 0.05 mg 피부·세포 건강
비타민 C 2.1 mg 항산화, 면역력 강화
식이섬유 6.8 g 장 운동 촉진, 소화 보조

 

3. 백출(삽주)의 효능

1) 면역력 강화

백출에 함유된 Atractylenolide I, II, III 성분은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성화시키고, 면역세포인 T세포와 NK세포의 반응을 증강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이는 외부 병원체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일부 연구에서는 백출 추출물이 선천성 면역 반응과 후천성 면역 반응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결과도 보고되었습니다.

2) 항염 작용 및 항산화 효과

백출 속 세스퀴테르펜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고, 활성산소(ROS)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합니다. 이로 인해 관절염, 위염, 피부염 등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항산화 작용은 세포 노화 방지와 DNA 손상 억제에도 관여하며, 건강 노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3) 위장 기능 강화 및 소화 촉진

백출은 위의 기운을 보강하고, 음식물이 장으로 원활히 이동하도록 돕는 효능이 있습니다. 특히 위 점막 보호, 위액 분비 조절, 장 연동운동 활성화와 관련된 기능이 보고되어, 소화불량, 복부 팽만감, 설사 등 소화기계 증상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이는 백출의 다당체 성분이 위장 점막을 보호하고, 세포 재생을 도와 염증을 줄이는 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4) 간 기능 보호

최근 연구에서는 백출이 간세포 손상을 억제하고 간 해독 효소를 활성화하는 작용이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이는 지방간, 간염 등 간 기능 저하 증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합니다.

간 손상을 유발하는 독성물질(CCl₄ 등)을 투여한 실험 동물에게 백출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ALT, AST 수치 감소와 간세포 보호 효과가 관찰되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5) 항암 보조 작용

백출의 Atractylenolide 성분은 일부 실험에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자멸(apoptosis)을 유도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기전은 아직 임상적으로 완전히 정립된 것은 아니지만, 항암 치료 보조제 또는 예방 목적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요약

주요 효능 작용 성분 과학적 작용 기전
면역력 강화 Atractylenolide I~III 대식세포 활성화, NK세포 증가
항염·항산화 플라보노이드, 세스퀴테르펜 사이토카인 억제, ROS 제거
소화 개선 다당류, 정유 성분 위 점막 보호, 장 연동운동 조절
간 기능 보호 Atractylenolide III 간세포 손상 억제, 해독 효소 활성
항암 보조 Atractylenolide I 암세포 자멸 유도, 증식 억제

백출(삽주)

4. 백출(삽주) 섭취 시 주의할 점 및 부작용

1) 체질에 따른 부작용

백출은 성질이 따뜻한 편이며, 기운을 끌어올리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음허(陰虛) 체질, 즉 몸에 열이 많고 얼굴이 붉거나 쉽게 갈증을 느끼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음허 체질: 몸이 자주 열나고 입이 마르는 사람
  • 실열 체질: 평소 얼굴이 붉고 손발이 뜨거운 사람

이러한 사람들에게 백출을 장기간 또는 과량으로 복용할 경우, 두통, 가슴 두근거림, 갈증, 불면 등 과열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소화기관 자극 가능성

백출은 위장 기능을 보완하는 약재이지만, 공복 시 고용량으로 복용하거나 과도하게 농축된 추출물을 장기간 복용할 경우 위점막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위염이나 위산과다증이 있는 환자는 복용 전에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3) 임신 중 복용 시 주의

백출은 태를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다른 약재와의 복합 처방 속에서만 그 효과가 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임산부가 단독으로 백출을 복용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으며, 반드시 전문 한의사 또는 의사와 상담한 뒤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약물 상호작용 가능성

백출은 이뇨작용이나 간 해독 기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특정 약물과의 대사 간섭 또는 흡수율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이뇨제, 간질환 약, 당뇨약 등 복용 중인 경우 복용량 조절 필요
  • 특히 간에서 대사되는 약물과 병용할 경우 주의

5) 권장 섭취량과 복용 형태

전통적으로는 건조 백출 기준 하루 6~10g 정도를 다려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건강기능식품이나 캡슐 형태의 경우 제품 권장량을 반드시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약

항목 주의 내용
체질 음허·실열 체질에겐 과열 반응 유발 가능성
위장 자극 고용량 또는 공복 복용 시 위장 부담
임신 중 사용 단독 복용은 권장되지 않음, 전문가 상담 필요
약물 상호작용 간 대사 관련 약물, 이뇨제와 병용 시 주의
권장량 하루 6~10g (건조 기준), 제품별 복용법 준수 필요

 

5. 백출(삽주)의 효율적인 섭취 방법

1) 전통적인 섭취 방법 – 탕약 형태

가장 오래된 방식으로, 건조 백출을 물에 달여 탕약 형태로 복용하는 것입니다. 대개는 다른 약재와 함께 복합 처방으로 사용되며, 비위 보강이나 기력 회복, 장내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합니다.

  • 복용 방법: 백출 6~10g + 물 500ml, 약한 불에서 30~60분 달임
  • 흡수율: 중간 (수용성 성분 위주로 추출됨)
  • 특징: 체질에 맞춘 한방 처방으로 복용할 때 가장 이상적

2) 백출 볶음(초백출) 형태

백출을 약한 불에서 노릇하게 볶은 뒤 사용하는 방식은 ‘초백출’이라 불리며, 전통적으로 습을 제거하고 위장을 덜 자극하는 방식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특히 위가 약하거나 설사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 복용 방법: 볶은 백출 6~8g을 달이거나 갈아서 분말로 섭취
  • 영양소 변화: 정유 성분 일부 감소, 장 자극성 낮아짐
  • 특징: 체질에 따라 위장 부담을 줄이는 대안적 방식

3) 백출 분말 형태

최근에는 백출을 저온 건조 후 미세 분쇄해 분말 형태로 섭취하는 방식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분말은 간편하고 빠르게 복용 가능하며, 차나 음식에 첨가해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복용 방법: 하루 1~2g, 따뜻한 물에 타서 섭취
  • 흡수율: 높음 (전체 성분 섭취 가능)
  • 주의점: 위장이 약한 사람은 과다 섭취 시 자극 가능

4) 캡슐·환 형태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으로 가공된 백출 제품들은 보통 추출물 또는 건조분말을 소량씩 농축해 제공되며, 정확한 용량 조절과 장기 복용의 편의성이 장점입니다.

  • 복용 방법: 제품 라벨에 따라 1일 2~3회 복용
  • 흡수율: 중간~높음 (가공 방식에 따라 차이)
  • 특징: 바쁜 일상 속에서 섭취하기 용이

백출의 섭취 방법별 비교

형태 복용 방식 장점 단점 흡수율
탕약 (달임) 물에 달여 복용 체질 맞춤 처방, 전통성 시간 소요, 맛이 쓰다 중간
볶음 (초백출) 볶아 사용 위장 자극 낮음, 장 건강 성분 일부 감소 중간
분말 물 또는 음식에 섞음 간편, 전체 성분 섭취 위장 약자 주의 높음
캡슐·환 정량 섭취 정확한 용량, 휴대 용이 가격, 일부 영양소 손실 가능 중간~높음

백출(삽주) 건조백출(삽주)

6. 조리법에 따른 백출(삽주)의 영양소 변화

1) 생초(생백출)

수확 직후의 생백출은 모든 유효성분이 살아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수분 함량이 높아 보관이 어렵고 금방 부패되며, 생으로 섭취하는 것은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 특징: 영양소 보존률은 높으나 실용성이 떨어짐
  • 장점: 모든 정유 성분과 유효성분 유지
  • 단점: 보관 불편, 위장 자극 가능성, 생취 강함

2) 건조 백출

생백출을 햇볕이나 저온건조기로 건조시켜 장기 보관 가능하도록 만든 형태입니다. 약효의 대부분은 유지되며, 수분 제거로 인해 유효성분이 농축되는 효과도 있습니다.

  • 특징: 가장 일반적인 한약재 형태
  • 장점: 장기 보관 가능, 복합 처방에 적합
  • 단점: 일부 정유 성분 소실 가능

3) 볶은 백출(초백출)

건조 백출을 약불에서 노릇하게 볶은 것으로, 위장 자극이 덜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부 성분은 열에 의해 파괴되지만, 정유 성분이 일부 변화되어 위장 친화적으로 전환되는 효과도 있습니다.

  • 특징: 위가 약한 사람에게 추천되는 가공법
  • 장점: 소화 촉진, 장 기능 개선
  • 단점: 항산화 성분 일부 열에 파괴 가능

4) 달임(탕제)

백출을 물에 넣고 끓여서 유효성분을 추출해 복용하는 가장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수용성 성분 위주로 추출되며, 기름 성분이나 휘발성 성분은 일부 손실될 수 있습니다.

  • 특징: 복용 시 흡수가 빠름, 실제 임상 활용도 높음
  • 장점: 수용성 성분 집중 추출, 복합약재 활용 가능
  • 단점: 정유 성분 손실, 시간과 번거로움

요약

조리법 장점 단점 주요 성분 변화 추천 대상
생초 유효성분 최대 보존 위장 자극, 부패 빠름 전 성분 유지 실험 목적 또는 소량 테스트
건조 장기 보관, 약효 농축 일부 휘발성 손실 수분 감소로 농축 효과 일반 복용자
볶음(초백출) 위장 부담 줄임 항산화 성분 일부 파괴 정유 성분 변화 소화기 약한 체질
달임 흡수율 높음, 처방 활용 용이 일부 기름 성분 손실 수용성 성분 중심 추출 전통 처방 활용자

 

7. 백출(삽주) 요약 정리

백출의 고유한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Atractylenolide 계열 화합물을 중심으로 한 복합 생리활성 성분 구조
  • 비위 보강과 장내 환경 개선에 특화된 약리 작용
  • 습기를 제거하고 기운을 보충하는 전통 한의학적 활용
  • 건조·볶음·달임 등 다양한 가공 방식에 따라 활용도 높음
  • 위장이 약한 사람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법에 따라 자극을 줄일 수 있음
항목 내용
대표 효능 면역력 강화, 소화 기능 개선, 항염·항산화, 간 보호
주요 성분 Atractylenolide I~III, 플라보노이드, 칼륨, 철분 등
전통적 역할 보기약, 조습약, 비위 보강, 기 보충
가공 방식 생초, 건조, 볶음, 탕제 등 다양
고유한 특징 습 제거 + 위장 강화 효과의 조화, 체질별 조절 가능
현대적 활용 분말, 환,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사용 확대 중

 

백출(삽주)은 ‘소화기 중심의 보익 효과’가 다른 약재보다 훨씬 뛰어나 보이네요.